최종편집:2025-08-27 오후 06:44:06
최신핫뉴스
훈민정음문학관
  최종편집 : 2025-08-27 오후 06:44:06
출력 :
훈민정음의 생일을 아십니까?
모든 존재는 자기 쓸모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세상에 태어난 날 또는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해마다의 그날을 생일이라고 한다는 뜻이다. 이것은 시간을 간직할 때 부여되는 특별한 의미이다. 그러나 인간과 사건은 시간을 달리 체험한다...
김용태 기자 : 2024년 03월 11일
훈민정음을 연구한 조선 시대 학자 성현과 최세진
훈민정음을 연구한 조선 시대 학자 성현과 최세진, 조선의 네 번째 왕에 의해 독창적으로 만들어진 조선의 문자 『훈민정음』에 대해서 모화사상에 젖어 있던 조선 시대 학자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궁금하다...
김용태 기자 : 2024년 03월 04일
‘훈민정음 언해본’의 표기법을 파괴한 훈민정음 기념비
광화문광장은 대한민국 수도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광장으로 2009년 8월 1일 12시 일반 시민에게 개방된 이래 서울 시민들은 물론이고 외국 관광객이 즐겨 찾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중심역할을 하는 명소이다..
김용태 기자 : 2024년 02월 26일
금속활자로 찍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출현을 기대한다.
“인류가 지구상에 와서 살다 죽어 간 것이 100만 년이나 되었지만,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6,000년밖에 되지 않았다.”(르네 에티앙블)..
김용태 기자 : 2024년 02월 23일
훈민정음 창제 과정의 세 번째 조력자 신숙주
“전하, 이 나라는 지난 천여 년을 사대모화하고 있사옵니다. 한자를 쓰는 것은 당연한 일이옵니다.”..
김용태 기자 : 2024년 02월 21일
훈민정음 창제 과정의 두 번째 조력자 광평대군
훈민정음 창제 과정의 두 번째 조력자로 추정되는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는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에 의해 죽임을 당한 무안군(撫安君) 방번(芳蕃)의 양자로 입양시켜 제사를 받들게 했는데, 세종 18년 1월 13일 12살의 나이에 신자수(申自守)의 딸을 친영(親迎)하여 궁 밖에 나가서 살았다...
김용태 기자 : 2024년 02월 20일
훈민정음 창제 과정의 첫 번째 조력자 정의공주
세종은 재위 23년 되던 1441년부터 훈민정음을 창제한 1443년 사이에 이상할 정도로 수시로 신하들에게 눈병과 풍증 등 병이 심하다고 호소하면서 한 두 해 정도 쉬고 싶다고 말한다...
김용태 기자 : 2024년 02월 19일
언문은 훈민정음을 낮잡아 부른 이름이라고 가르치는 국어교육
「일제 강점기에 주시경 선생은 세종대왕이 만든 우리말이 ‘언문’이라 불리는 것이 안타까워 한글이라는 새 이름을 붙여 주었어요.」..
김용태 기자 : 2024년 02월 05일
훈민정음 창제 직후 금속 활자로 찍은 책 『월인천강지곡』
조선왕조 제4대 왕(재위 1418~1450) 세종은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셋째아들로 태어나, 사실상 왕위 계승자가 될 가능성은 크지 않았다. 10년 동안 왕의 셋째아들로서, 평범한 왕자로 생활했던 세종이 청천 부원군 심온(沈溫)의 14살 딸과 가례를 올리고 경숙옹주로 맞이한 때는 12살 되던 1408년이었다...
김용태 기자 : 2024년 02월 05일
   [1]  [2]    
오늘 주간 월간
행정
2025년 APEC 에너지장관회의 개막..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2025년 8월 27일(수)~28일(목) 부산에서 제1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 [서정용 기자]
하도급 불공정거래 피해기업, 법원에 직접 금지 청구 가능..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는 하도급법상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 피해기업 등 당사자인 사인(私人)의.. [서정용 기자]
경남연구원-日 하이퍼네트워크사회연구소, AI 기반 연구 협력을 위한 MOU 체결..
경남연구원(원장 오동호)과 일본 ‘하이퍼네트워크 사회연구소’(소장 아오키 에이지)가 지난 26일, 오이타현 하이퍼네트.. [홍은정 기자]
산업
對外 순채권국 전환 10년, 韓 ‘투자 영토’ 빠르게 늘어나는 중..
2014년 우리나라가 대외 순채권국으로 전환된 후 10년간, 해외투자 규모는 2.3배 늘며 ‘투자 영토’가 빠르게 넓.. 
서울시, 마곡 지식산업센터 규제 대폭 완화…공실 해소·기업 유치 본격화..
서울시가 마곡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식산업센터의 공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 활동을 위축시켜 온 불필요한 .. 
경기도, 산업단지 중심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발굴 나선다..
경기도가 전력자립도를 높이는 미래형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발굴에 나선다. 중앙정부의 분산형 에너지.. 
정치
최호정서울시이회의장 “정부는 지방에 빚을 넘기지 말고 재원을 넘겨야”..
최호정 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광복 80주년을 맞는 특별한 8월에 임시회를 개최하게 되었다”며, “역사를 기억함과 동.. 
여주시 신청사 건립 공사비 50억 포함 추경안 통과..
여주시 신청사 건립을 둘러싼 집행부·시의회 여당과 야당간의 3개월간 정치적 대립이 지난 21일 극적으로 매듭지어졌다... 
국민의힘 장동혁 당 대표 선출, 2천366표 차로..
오늘(26일) 국민의힘은 장동혁 당 대표를 선출했습니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당원들의 뜨거운 참여와 관심은 우리 스스로.. 
서울지하철 비냉방역 상가, 절반 가까이 냉방시설 ‘無’..
기록적 폭염 속 ‘찜통 역사’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이번에는 서울지하철 비냉방 역사 내 상가의 절반 가까이가 냉방시.. 
조성환 의원, “미군 공여지 개발, 경기북부 평화와 성장의 전환점 돼야”..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성환 위원장(더불어민주당, 파주2)은 8월 25일 국회도서관 소강당에서 열린 「미군 반환공.. 
제호: 4차산업행정뉴스 / 발행인겸대표: 서정용 / 편집인 : 서정용 / 주소: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1128-3 제2차파트너스타워 5층 505호 B동
대표전화: 010-7635-3478 | 02-573-3478 정기간행물등록번호: 서울,아53889 / 등록일: 2021년 08월 18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용태 / mail: 6989400@daum.net
4차산업행정뉴스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4차산업행정뉴스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53,392
오늘 방문자 수 : 57,806
총 방문자 수 : 40,674,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