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나홀로’사는 세대 1000만 돌파, ‘저출산-고독사’ 대책 서둘러야
김국우 4차산업행정뉴스 논설위원
2024년 04월 20일 [4차산업행정뉴스]

 

 

 


[4차산업행정뉴스=김국우논설위원] ‘나홀로’ 사는 세대, 1인 세대, 1인 가구가 처음으로 1천만 명을 육박했다. 주민등록을 한 10세대 가운데 4세대는 혼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세대로 봤을 때, 5세대 중 2세대 이상이 홀로 거주하는 셈이다. 연령별로 보면 60대가 가장 많다. 30대와 50대가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와 서울의 1인 세대수가 각각 225만여 명, 2백만여 명으로 가장 많았다.

정부는 독거노인과 미혼 싱글 등이 많이 늘어나면서 1인 세대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1인 세대를 위한 각종 정책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안정적인 주거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관련 정책들을 발굴해 가는 중이다.

9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보면 전국에 혼자 사는 인구는 1002만 1413세대로 전체 세대 2400만 2008개 세대의 41.8%를 차지했다. 올해 3월 처음으로 1인 세대수는 1년 전과 비교해 21만1344개 늘면서 1,000만 세대를 돌파했다. 직전 달인 2월엔 998만 1702세대였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로 부모와 자식으로 이뤄진 전통적 가족형태가 급감하는 이유에서다.

베이비붐 세대의 급속한 고령화와 20·30대 비혼주의확산 등이 주요 배경이다.

3월 전체 세대원 수를 살펴보면 1인, 2인 세대 등 적은 수의 세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4인 세대 이상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행안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 상 1인 세대는 통계청의 1인 가구 통계보다 다소 많다. ‘가구’의 경우 실제로 함께 살지 않아도 생계 등이 같은 경우 1가구로 집계한다. ‘세대’는 주민등록 주소지를 기준으로 구분해서다. 가령 부부와 자녀 1명은 3인 가구지만, 이들이 주말부부로 떨어져 살고 자녀 또한 학업 등을 이유로 다른 지역에 주민 등록을 하고 산다면 3개의 1인 세대로 집계된다.

행안부는 “이처럼 1인 세대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것은 가족과 떨어져 독립한 경우도 있지만, 비혼 또는 미혼을 이유로 혼자 살거나 독거노인이 늘어난 이유가 크다”며 “이들 1인 세대를 위한 각종 정책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계청은 앞으로 점차 젊은 1인가구보다 노령 1인가구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간 1인 가구 지원에서 소외된 중·장년층, 특히 남성 1인 가구에 주목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지자체는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1인 가구 지원에 나서고 있다. 

 

포털 사이트를 구축해 1인 가구들에게 정보 제공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개설하고 네트워크 형성 등 ‘나홀로’ 노인들 안부를 챙기며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주민등록 인구통계상 1인 세대는 주말 부부, 기숙사 거주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계청 1인 가구 보다 나 홀로 가구 실태를 폭넓게 반영한다. 이처럼 나 홀로 가구 급증 추세에 비해 우리 사회보장 시스템은 그 속도가 훨씬 느리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010만 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 소득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전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73%가 1인 가구다. 

 

소득과 자산이 적어 월세 비중은 높고, 주거 불안정으로 결혼과 출산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기존 인구 및 복지 정책은 결혼과 부부 위주의 자식 양육으로 설계돼 있다. 

 

1인 세대는 철저히 배제된다. 빈곤율이 높은 1인 세대들은 결혼과 출산을 미루고, 이는 저출산으로 연계돼 악순환이 반복되는 현실이다.

혼자 사는 청년보다 노인의 증가 속도는 더 가파른 속도이다. 고령화로 홀몸노인 비중이 늘면서, 약 1300만 명 규모의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 세대 진입 과정이다. 

 

실직 퇴직 이후 노후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기 쉽고, 이혼 사별 등으로 가족과 단절되면 고독사 위험군이 된다. 우리보다 앞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선진국에선 이를 예방하기 위해 노인 돌봄시스템을 대대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노인들을 위한 공동주택을 보급 등 주거 안정과 공동체 유지를 위한 지원 체계 구축이 시급한 현실이다.

김국우 기자  
“”
- Copyrights ⓒ4차산업행정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차산업행정뉴스 기사목록  |  기사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