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미국 '비둘기 파월'의 금리인하 시사, 코스피 2750 돌파
김국우 4차산업논설위원
2024년 03월 22일 [4차산업행정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사진 연합뉴스

 

[4차산업행정뉴스=김국우논설위원] 춘분 다음날인 21일 코스피지수가 2.41% 오르며 2750을 돌파했다. 이 기록은 2022년 4월 5일 이후 약 23개월 만이다. 코스닥지수도 1.44% 상승해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9월 11일(912.55) 후 처음으로 900선을 넘었다.

국내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3.12%, 8.63% 올라 상승세를 이끌었다. 외국인은 이틀째 이들 주식을 집중 매수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8만원 목전에, SK하이닉스는 상승 폭이 더 커 17만원을 회복했다.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해소에다 엔비디아 공급 확대기대 등이 호재로 작용하였다.

이날 글로벌 상승세 주역은 반도체였다. 미국 마이크론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과 가이던스(자체 예상치)로 시간 외 거래에서 18% 급등한 것이다.

 
미국 주식시장의 3대 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하자 아시아 주요증시도 동반 강세였다. 이날 중국만 약세를 보였다. 미국 다우존스30지수(1.03%), S&P500지수(0.89%), 나스닥지수(1.25%)와 일본 닛케이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2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Fed가 연내 3차례 금리 인하를 시사하자, 증권시장은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긍정적으로 화답한 것. 금리인하 기대에 달러 가치도 올 들어 최대 폭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은 17원 내린 1322원이었다.

금과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하락하던 암호화폐 가격이 급반등하는 등 이른바 ‘에브리싱 랠리’의 활황장세가 펼쳐진 것이다. 금 현물가격은 올해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온스당 2200달러를 돌파, 사상 최고치를 또 경신하는 추세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원금손실이 가능한 주식투자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서 주가는 하락하게 된다. 반대로 금리를 인하하면 대체투자 수단인 주식과 부동산 투자로 돈이 몰리면서 유동성 장세가 나타난다.

금리가 이론적으로 주가와 역의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항상 그렇지 만은 않다.

 
2020년 초엔 팬데믹 영향으로 경기 침체가 일어나면서 기준 금리를 인하 시켰지만 S&P 500 지수는 하락하면서 금리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을 보였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속에 외국인의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더욱 강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는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국내 통화정책의 경우 한국은행이 이르면 7월부터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한은이 하반기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설 경우 연내 두세 차례의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당분간 실적 반등이 기대되는 국내 메모리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국내 증시 오름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주부터 강세를 보인 전력기기, 조선, 정유·화학 등 경기민감 주식에 이어 반도체, 2차전지 등 성장주와 중소형 반도체 장비주까지 상승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모처럼 한국 증시에 활력을 불어넣은 것은 당국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치도 한 몫을 했다. 상장 기업들의 적극적인 주주환원과 자본 효율화를 유도해 기업 가치를 높이자는 것. 이는 일본이 지난해 초부터 시행해온 증시정책이다. 일본은 지난해 제도 도입 후 상장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는 등 주주가치 환원에 나섰다. 

 

그 결과 지난 1년간 주가지수가 30% 넘게 올라 최근에는 3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기금을 동원한 관제 증시 부양도 없었고, 공매도 폐지와 같은 반시장적 조치도 없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한국 증시를 활성화 할 확고한 증시 정책이다. 한국 증시는 상장 기업 10개 중 4개가 PBR 1을 밑돌 정도로 저평가 상태다. 상장 기업들은 배당과 자사주 매입에는 인색한 대신, 기업분할과 유상증자는 일방적으로 단행해 투자자 신뢰를 상실했다. 이제 코리아 디스카운트에서 벗어 날 때다.


당국의 확실한 정책결정이 요망된다. 일본 증시정책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장기간 주주이익을 방치하거나 훼손한 기업에 대해선 일본처럼 상장폐지 규정을 둘 정도로 권고가 아닌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한국 증시의 힘찬 도약과 성공을 기대한다. 한국경제와 기업들이 성장의 발판이 되기 때문이다.

김국우 기자  
“”
- Copyrights ⓒ4차산업행정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차산업행정뉴스 기사목록  |  기사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