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한국증시 저평가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위한 화급한 정책결정
김국우 4차산업행정뉴스 논설위원
2024년 02월 02일 [4차산업행정뉴스]

 

 





 

[4차산업행정뉴스=김국우논설위원]  2월 첫날 코스피지수는 외국인과 기관 매수 우위로 전 날 대비 1.82% 상승한 2542.46가 됐다. 새해 들어 부진을 거듭했는데 연중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인 정부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상승을 이끈 것으로 본다. 

 

은행, 증권, 보험, 상사(지주), 자동차, 화학 등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업종의 상승세가 주목된다. 지난해 말 기준 코스피의 PBR 평균은 1.1배로 미국의 4.6배, 일본의 1.4보다 현저히 낮다. 

 

1월 26일 기준으로 PBR 1배 미만인 종목은 1104곳에 달한다. PBR은 기업의 순자산 대비 주가수준을 나타낸다. PBR이 낮을수록 기업의 주식이 저평가를 뜻한다. PER(price earning ratio)는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PER가 낮다는 것은 주당 이익에 비해 주식 가격이 싸다는 의미다. 

 

한국 증시 전체의 PER는 선진 증시 대비 지나치게 낮다. 우리 증시의 시가총액의 46%를 외국 자본이 차지한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1997년 IMF 이후 한국 주식 투자가 외국인들이 처음 사용했다. 한국 주식의 할인된 가격을 말한다. 우리 증시는 물론 한국 경제 분야에 걸친 저평가 현상이 연관된다.

연초부터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뜨거운 이슈다. 정부는 한국 증시의 저평가 해소를 올해 주요 정책으로 삼고 있다. 금융당국은 올해 상장사의 기업 가치를 높이는 ‘기업 밸류업(가치제고) 프로그램’을 천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올해 1월 2일 현직 대통령 최초로 한국거래소의 주식시장 개장식에 참석해 “내년에 도입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한다.”며, “우리는 글로벌 경쟁력의 기업이 많지만, 증시는 매우 저평가 수준이다. 임기 중 글로벌 스탠다드로 글로벌 증시수준을 개선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해소”를 강조했다.

연초 후 지난 달 24일까지 코스피 지수는 7% 하락하며 23개 주요국 주가지수 중에서도 상승률 최하위였다. 

 

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우리 증시 1400만 명의 개인 투자자와 소액 주주들의 기대를 외면했다. 

 

연초부터 주요국 증시의 활황과는 대조적이다. 1월 23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S&P500 지수(4850.43)와 다우존스 지수(3만8001.81)는 모두 사상 최고치에 올랐다. 

 

나스닥 지수(1만5360.29)도 연초 상승장을 동반 견인했다. 높은 성장률에 물가는 안정세인 미국경제가 ‘골디락스’(과열도 냉각도 아닌 적절한 상태)에 진입했다는 평가이다. 

 

미국의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3.3%, 연간 2.5%이다. 물가상승률도 1.7%로 더 낮았다. 미 증시 활황은 MS가 사상 처음로 시가총액 3조달러(약 4010조원)를 넘겼다. 

 

최근 코스피 시가총액은 2004조원, 코스닥은 390조원. 국내 상장기업 전체보다 MS의 가치가 1600조원 더 높다.

 

일본 증시도 상승곡선을 그렸다. 닛케이 지수는 지난 24일 들어 전날 대비 350포인트가 오르며 3만6896으로 마감, 연초대비 9%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처럼 비현실적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국내 투자자들은 점차 미 증시로 옮겨가는 추세다. 예탁결제원은 올해 한국인 투자자들의 미 주식 순매수 금액이 6500억원에 달한다고 했다. 

 

증시에서 우리 성적표는 세계 최하위 수준이다. 심지어는 ‘제품은 일류, 자본시장 평가는 삼류’라는 말까지 나온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은 다양하다. 분단국가라는 포괄적 안보문제부터 최대주주 위주의 배당정책과 소액 주주에 대한 비우호적인 태도, 불공정 거래 및 빈번한 주가조작 사태, 기업 지배구조를 견제할 수 있는 소액주주 권리 보호 수단, 이사회 기능, 기관투자가 기반의 취약성 등 그 병폐는 부지기수다. 

 

정부는 서둘러 선진 증시 혁신 로드맵 구축으로 증시정책결정을 서둘어야 할 때다.

김국우 기자  
“”
- Copyrights ⓒ4차산업행정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차산업행정뉴스 기사목록  |  기사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