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글로벌 경제와 우리 경제의 전망과 대응
김국우 논설위원
2023년 09월 12일 [4차산업행정뉴스]


 



우리 경제는 하반기부터 글로벌 경기 둔화, 달러 강세, 중국의 불황 등 리스크(위험) 요인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높아진 에너지·유가도 경기회복 전망에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G2 국가인 미국과 중국의 성장세 둔화가 심상찮다. 지난해 기준 미국과 중국의 세계 국내총생산(GDP) 비중은 각각 25.4%, 18.1% 수준이었다.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은 미국경제성장률이 올해 1.9%에서 내년 0.8%로, 중국은 같은 기간 5.1%에서 4.6%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10일 현대경제연구원의 '글로벌 경제 리스크 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주요 선진국은 물론 신흥개도국도 경기 회복세 둔화가 예상된다. 세계경제 성장률은 2020~2028년까지 2% 후반대의 약화로 우리 국내경제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달러 강세가 지난해 4월부터 8월까지 17개월째 이어지고 있고, 내년 상반기까지도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한국 경제에 부담 요인이다.

지난해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인상하면서 달러 가치가 급등했는데 미국의 통화정책 전환 시점이 늦춰질 전망이다. 미국의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는 여전히 3% 이상의 높은 상승률이며, 고용시장 역시 뚜렷한 개선 기미가 보이지 않아 내년 상반기까지 현재 고금리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달러로 표시되는 에너지, 식량 등의 물가 상승, 신흥국의 자본 유출 및 부채 부담 증가 등의 악영향이 예상된다.

중국 경제가 부동산 경기침체가 심화돼 대차대조표 불황에 진입하는 경우 신흥국 및 국내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중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 상승으로 지난해 말 158.2%를 기록했다. 리오프닝과 중국인민은행(PBC)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에도 소비 둔화세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유동성을 풀어도 소비나 투자의 확대가 어렵다는 것이다.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금리가 하락 반전을 기대하고 있는 글로벌 경제주체들에겐 큰 부담이다. 유가 상승이 물가를 자극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금리 인상을 부추기거나 금리 인하시기를 늦출 명분이 되기 때문이다. 곧 유럽의 난방유 소비가 증가하는 계절이 시작되는 시기가 도래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것도 큰 걱정이다.

 
사우디 등 OPEC+의 감산 기조 심화로 상방 압력이 확대되는 추세다. 엘니뇨 발생으로 이상기후 현상까지 빈번해지면서 에너지 및 식량 가격을 포함한 원자재 전반에 가격 상승세가 확대될 가능성도 더욱 커졌다. WTI 기준 배럴당 90달러, 브렌트유 100달러 돌파 혹은 방어선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국에 대한 수출 다각화 전략과 함께 민·관의 상호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선제적 노력이 필요하다. 원자재가격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기업경영 측면에서는 생산비용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고, 가계의 경우 식탁 물가 등 실생활과 밀접한 품목을 선제적으로 점검하는 등 불황에 대비한 대응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4차산업행정뉴스 기자  6989400@daum.net
“”
- Copyrights ⓒ4차산업행정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차산업행정뉴스 기사목록  |  기사제공 :